본문 바로가기

P-Language/Python

(11)
[2일차] 리스트 자료형 리스트 자료형 : 집합 자료형 대괄호[] 로 감싸주고 각 요소값들을 쉼표로 구분한다. 1. 리스트의 생김새 a = [] b = [1,2,3] c = [‘Life’,’is’,’too’,’short’] d = [1.2,’Life’,’is’] e = [1,2,[‘Life’,’is’]] 2. 리스트의 인덱싱 a = [1,2,3] a[0] = 1 a[0] + a[2] = 4 a[-1] = 3 #리스트 안의 리스트형 a = [1,2,3,[a,b,c]] a[-1][0] = ‘a’ a[-1][1] = ‘b’ 3. 리스트의 슬라이싱 a = [1,2,3,4,5] b=a[:2] [1,2] c=a[2:] [3,4,5] # 중첩된 리스트에서 슬라이싱 a = [1,2,3,[‘a’,’b’,’c’],4,5] a[2:5] [3,[‘a..
[1일차] 문자열 자료형 교재 : Do it! 점프 투 파이썬 2-2 문자열 자료형 01. 문자열을 만드는 방법 4가지 # 큰 따옴표로 양쪽 둘러싸기 “Hello World” # 작은따옴표로 양쪽 둘러싸기 ‘Python is fun’ # 큰 따옴표를 3개 연속 “”” 써서 양쪽 둘러싸기 “””Life is too short, You need Python””” # 작은따옴표 3개 연속 ‘’’ 써서 양쪽 둘러싸기 ‘’’Life is too short, You need Python’’’ 02. 문자열 안에 따옴표 포함시키기 # 작음따옴표 포함시키기 “Python’s favorite food is perl” # 큰따옴표 포함시키기 ‘“Python is very easy.”he says.’ # 백슬래시를 이용해서 작음따옴표, 큰따옴표를 ..
[1일차] 숫자형 교재 : Do it! 점프 투 파이썬 2-1 숫자형 1. 정수형 Integer a = 123 a = -178 a = 0 2. 실수형 Floating-Point : 소수점이 포함된 숫자 a = 1.2 a = -3.45 2-1 컴퓨터식 지수 표현 방식 a = 4.24E10 a = 4.24e-10 3. 8진수, 16진수 Octal : 0o or 0O a = 0o177 Hexadecimal : 0x a = 0x8ff b = 0xABC 4. 복소수 a = 1+2j b = 3-4J 4-1 복소수 실수 부분 리턴 .real a = 1+2j a.real 1.0 4-2 복소수 허수부분 리턴 .imag a = 1+2j a.imag 2.0 4-3 복소수의 켤레복소수를 리턴 .conjugate() a = 1+2j a.conj..